본문 바로가기

내가 아는 ELEC

[전기]접지공사의 종류,접지사항,접지선의 굵기 및 채용장소

반응형

 

제 1 종접지공사

▶변압기로 특별고압전선로에 결합되는 고압전로의 방전장치

▶특별고압 계기용변압기의 2차측전로

▶고압용전기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외함

▶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및 방출보호통 기타 피뢰기에 대용하는 장치

▶고압옥측전선로의 시설로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특별고압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 전선 등과 접근 또는 교차시의 보호망

▶고압옥외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방전등용 안전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전등회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이고
   또한 방전등용 변압기의 2차단락전류 또는 전등회로의 동작전류가 1A가 넘는 경우)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전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를 엄는 방전등

▶전극식온천용승온기 차폐장치의 전극

▶풀장용 수중조명등 등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권선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금속제의
    누설방지판

▶고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  사람이 접촉할 경우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

제 2 종접지공사

▶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 또는 1단자(사용전압이 300V이하의 경
   우이고 당해 접지공사를 변압기의 중성점에 시설하기 어려울때)

▶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로 고압권선과 저압권선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금속제의
   누설방지판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성선

제 3 종접지공사

▶고압계기용변압기의 2차측전로

▶400V 미만의 저압용 기계기구의 철대 또는 금속제외함

▶저압가공전선 또는 고압가공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것을 조가하는 경우의 멧센져와이어어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다심형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멧센져와이어용으로서 절연물로 피복하지 아니한 도체

▶고압가공전선이 교류전차선 등의 위에서 교차하여 시설될 경우의 고압가공전선로의 포금류

▶보호망

▶보호선

▶관, 암거 기타 지중전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의 전선접촉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터널내에 고압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 할 때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
  접속함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고주파전류에 의한 장해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콘덴서 및 네온점멸기의 고주파발생장치 접속단자의     접지    측단자

▶400V 미만의 합성수지관 공사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랙시블 휘팅

▶400V미만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 가요전선관

▶400V미만의 금속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400V미만의 버스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플로어덕터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400V미만의 케이블배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의 배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및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전등기구의 금속제부분(제1종접지공사, 특별제3종접지공사의
   조건이외의 경우)

▶400V이상 1,000V이하의 전등회로의 배선으로 다음에 해당하는 것.
 1. 합성수지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랙시블 휘팅
 2. 금속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3. 금속몰드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몰드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4.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의한 경우의 금속제 가요전선관 및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5. 케이블 배선에 의한 경우의 관 기타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체부분,케이블을 조가할 경우의
     멧센저와이어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에스칼레이트내의 관등회로 배선으로 전선과 접촉하는 금속제의 조영제

▶네온변압기를 넣는 외함의 금속제부분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로서 사용전압 1,000V이하의 방전등

▶교통신호등 제어장치의 금속제 외함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 접속하는 전선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장치

▶전열보드의 금속제외함 또는 전열시트의 금속제피복

▶전극식온천용승온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외함

▶전기욕기에 사용하는 절연변압기의 철심 및 금속제외함

▶전기방충용전원장치를 넣는 금속제의 외함

▶아크용접장치의 피용접제 또는 이것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지구, 정반 등의 금속제

▶엑스선발생장치의 변압기 및 콘덴서의 금속제외함등

▶엑스선관도선의 노출하는 충전부분에 1m 이내로 접근하는 금속체

▶라이팅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특별 제 3 종접지공사

▶400V 이상의 저압용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

▶400V 이상의 합성수지관배선에 사용하는 풀박스 또는 분진방폭형 플랙시블 휘팅

▶400V이상의 금속관 배선에 사용하는 관

▶400V 이상의 금속제가요전선관배선에 사용하는 금속제 가요전선관

▶400V 이상의 금속덕트 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400V 이상의 버스덕트배선에 사용하는 덕트

▶400V 이상의 케이블전선에 사용하는 관 기타전선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금속제전선접속함,
    렉크등지지물의 금속제부분,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방전등용안정기의 외함 및 금속제부분(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의 저압이고 또한 방전등용
   변압기의 2차 단락전류 또는 관등회로의 동작 전류가 1를 넘는 경우)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이하의 방전등

▶풀용 수중조명등에 사용하는 자동차단장치 등을 넣는 금속제의 외함

▶풀장용 수중조명등을 넣는 욕기 및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400V이상의 저압의 발열선 또는 발열선과 직접접속하는 전선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 및 방호장치

▶400V이상의 저압의 직접가열장치에 사용하는 발열체의 단열제의 금속제외피 및 절연물을 중간에
    둔 금속제 비충전부분

▶400V이상의 저압의 표피전류가열장치에 사용 하는 발열관(박스를 포함한다)

▒  사람이 접촉할 경우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

※ 접지공사 그 자체는 규제되어 있지 아니하나 소정의 접지공사를 할 경우에 시공방법이 완화되는 것으로는 다음의 것이 있다.

고압용 절연기구를 금속제의 함에 넣는 경우

저고압가공전선과 소도 등의 근접 또는 교차

저고압가공전선과 굴뚝 등이 접촉될 경우가 있는 경우

저압옥내전선과 약전류전선의 접근 또는 교차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콘트롤리선선의 공사

전극식온천용승온기의 시설

전기집진장치의 시설

전력접지 공사표

접지종형

접지저투지

접지공작물

접저선의  굵기

접지극

제1종

10Ω이하

접지모선 및 피뢰기
고압 및 특별고압기기의 철대,
금속제외함,
특별고압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전로, 방등회로가 고압 및 300V를 넘는 저압이고
동작전류가 1A를 넘는 방전등기구의 금속부분

14㎟이상

5.5㎜이상

접지극은 판형, 변형, 관형등의 동 또는 동피복 강제의 접지극을 사용한다

제2종

150/ΩI1 이하I1은 1선지락전류.
 단, 측 또는
소요저항치를
전기공급자와
협의결정한다

1상의 변압기합계용량5kVA이하

5.5㎟이상

  (100V의 경우)      10kVA이하

8㎟이상

      "             20kVA이하

14㎟이상

      "             40kVA이하

22㎟이상

       "             60kVA이하

38㎟이상

인입선 14㎟이하    인입구접지

5.5㎟이상

   "   38㎟이하        "

8㎟이상

   "  100㎟이하        "

14㎟이상

   "  250㎟이하        "

22㎟이상

   "  250㎟초과        "

38㎟이상

특별제3종

10Ω이하

300V 넘는 저압용기기의 철대, 외함, 금속관공사의 고압옥측에 전선로의 관, 경질비닐공사에 의한 고압옥내배선의 금속제 풀복스등

제3종과 동

제3종

100Ω이하

저압전동기의 자기이외의 공철대, 배관등 설비로서 과부하차단기가

 

3.7 kW이하       50A이하

2.0㎟이상

7.5 kW이하      100A이하

5.5㎟이상

15 kW이하      200A이하

14㎟이상

37 kW이하      400A이하

22㎟이상

                600A이하

38㎟이상

    접지선의 굵기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성의 부분

접지선의 종류

접지선의 부분

알루미늄

고정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
가연성을 필요로 하지 않은 경우

-

2.6㎜ 이상
(5.5㎟ 이상)

3.2㎟  이상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
가연성을 필요로 하는경우

제3종 또는 제사종 크롤로프랜캡타이어케이블,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고압용의 캡타이어 케이블의 차폐금속제 혹은 접지용 금속선

8㎟ 이상

-

※이표는 비접지식 고압전선로에 전기기계기구를 접속하는 경우의 최저기준을 표시한다

제2종 접지공사

    변압기 중성점 접지
    최대용량 변압기1상분의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하여 접지선의 굵기를 산정한다
        S= 0.052In   s: 단면적[㎟ ] In: 변압기 1상분 정격전류[A]
        (최대용량의 3상 변압기 용량 / 3/ 220)

     표 제2종 접지선의 굵기

변압기 1상분 용량 [kva]

접지선의 굵기

110v

220v

380v

동선[㎟ ]

알루미늄선[㎟ ]

5.5 까지

11.0까지

19.0까지

5.5 이상

8.0 이상

11.0 까지

22.0까지

38.0 까지

8.0 이상

14 이상

22.0 까지

44.0 까지

76.0 까지

14 이상

22 이상

44.0 까지

82.5 까지

152.0 까지

22 이상

38 이상

66.0 까지

137.5 까지

228.0 까지

38 이상

60 이상

82.5 까지

165.0 까지

285.0 까지

50 이상

80 이상

110.0 까지

220.0 까지

380.0 까지

60 이상

100 이상

137.5 까지

275.0 까지

475.0 까지

80 이상

125 이상

    ※ 내선규정 표 1-18
        변압기 1상분의 용량 이란
         1. 3상 변압기 : 정격용량의 1/3
         2. 같은 용량의 단상변압기 3대로 △결선 또는 Y 결선하는 경우: 단상변압기 1대분의 정격용량
         3. 단상변압기 V 결선일 때
             - 용량이 같은 단상변압기 2대로 v 결선 : 단상변압기 1대의 정격용량
             -  용량이 다른 단상변압기 2대로 v 결선: 큰용량의 단상변압기 정격용량
         4.변압기의 뱅크가 2개 이상일 경우
            - 병열 연결 되어 저압측이 1대의 차단기로 보호 되는 경우: 각뱅크의 용양의 합계치로 함
              :상기내용 참조
          5. 저압측이 다선식일 경우 : 그사용전압중 최대전압을 적용
            - ex: 단상 3선식 220v/440v 와 같은 경우 380v 급을 적용

제 3종 또는 특별 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

접지하는 기계기구의
금속제외함, 배관등의
저압전로의 전원측에
시설되는 과전류 차단기
중 최소의 정격전류의
용량

일반의 경우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기계기구에 접지를 하여야
할 경우로서 가연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코오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알루미늄

단심의 굵기

2심을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1심의 굵기

20A  이하

1.6㎟ 이상 2 ㎟ 이상

2.6㎟ 이상

1.25㎟ 이상

0.75 ㎟ 이상

30A 이하

1.6㎟ 이상 2 ㎟  이상

2.6㎟ 이상

2㎟ 이상

1.25 ㎟ 이상

50A 이하

2.0㎟ 이상 3.5㎟ 이상

2.6㎟ 이상

3.,5 ㎟ 이상

2㎟ 이상

100A 이하

2.6㎟ 이상 5.5㎟ 이상

3.2㎟ 이상

5.5㎟ 이상

3.5㎟ 이상

200A 이하

14㎟ 이상

22㎟ 이상

14㎟ 이상

5.5㎟ 이상

400A 이하

22㎟ 이상

38㎟ 이상

22㎟ 이상

14㎟ 이상

600A 이하

38㎟ 이상

60㎟ 이상

38㎟ 이상

22㎟ 이상

800A 이하

50㎟ 이상

80㎟ 이상

50㎟ 이상

30 ㎟ 이상

1,000A 이하

60㎟ 이상

100㎟ 이상

60㎟ 이상

30㎟  이상

1,200A 이하

80㎟ 이상

125㎟ 이상

80㎟ 이상

38㎟ 이상

1. 이 표는  과전류 차단기는 인입구, 선용 또는 분기용에 시설하는 것( 개페기가 과전류 차단기를 겸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며, 전기개폐기와 같은 전동기의 과부하보호기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2. 코오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2심의 굵기가 동등한 것으로, 2심을 병열로 사용하는 경우의 1심의 단면적을 표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