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은 타블로그나 지식검색에서는 정확치 않은 전압강하를 구하는 정보가 떠돌고 있음..
나도 무작정 자료수집으로 복사해서 써넣었으나 '아차...이게아니군' 싶어서 수정했음.
나같은 무뇌도 보니까 뭐가 잘못되었던 것인줄 알겟음..
전압강하란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전압의 차
Vs-Vr=e
전압강하는 선로의 고유저항, 전선의 굵기, 길이에 따른 식이 적용됨.
연동의 경우 단위단면적(제곱밀리미터)당 고유저항은 1/58 경동과 연동의 비율은 100/97
선로의 합성저항 = 단위단면적당 고유저항 * 경동의 비* 선로의 길이/선로의 단면적
R=(1/58*100/97*L)/SQ=0.0178L/A=17.8L/1000A
전압강하 =전류 * 선로저항
e=I*R
단상의 경우 선로가 왕복을 하므로
e=2IR = 35.6LI/1000A
3상 3선의 경우 선로는 상별로 중복해서 부하가 걸리므로
e=√3 * I * R = 30.8LI/1000A
3상 4선의 경우 중성선에 의해 왕복되는 전류가 상쇄 되는 평형부하라고 생각하면
e=I R 이 되어 e=17.8LI/1000A
단상2선식
전압강하 e = ( 17.8 x 2 x L x I ) / ( 1000 x A ) 단위 [V]
전압강하율 %e = ( 17.8 x 2 x L x I ) / ( 1000 x V x A )
전선의 굵기 A = ( 17.8 x 2 x L x I ) / ( 1000 x 110 x %e ) 단위 [㎟]
3상3선식
전압강하 e = ( 17.8 x √3 x L x I ) / ( 1000 x A ) 단위 [V]
전압강하율 %e = ( 17.8 x √3 x L x I ) / ( 1000 x V x A )
전선의 굵기 A = ( 17.8 x √3 x L x I ) / ( 1000 x 220 x %e ) 단위 [㎟]
3상4선식
전압강하 e = ( 17.8 x 1 x L x I ) / ( 1000 x A ) 단위 [V]
전압강하율 %e = ( 17.8 x 1 x L x I ) / ( 1000 x V x A )
전선의 굵기 A = ( 17.8 x 1 x L x I ) / ( 1000 x 380 x %e ) 단위 [㎟]
L = 거리[m]
I = 부하전류[A]
V = 전압
V=선간전압 , E=상전압
'내가 아는 ELE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 기술기준 (기술기준개정전문) 2010년 1월 8일 개정본. (0) | 2010.07.05 |
---|---|
한전 계약전력 산정 및 입력 환산율 (0) | 2010.07.05 |
IEC규격 전선 허용전류 (31) | 2010.06.08 |
휀룸외 SVP 조작반(수퍼비조리판넬)의 배관,배선 (0) | 2010.06.08 |
전기사용신청절차 (한전, 안전공사) (1) | 2010.06.05 |
마력[Hp],유효전력[Kw],피상전력[Kva],전류[A]구하기 (0) | 2010.06.05 |